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4)
분묘기지권의 맹점을 활용한 토지투자법 규제가 심한 주택투자 대신에 토지나 주택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는 중입니다. 조던 김장섭(JD 부자연구소, 다음카페)님의 글과 유튜브 영상을 보고 들으면서 몇 억씩 큰돈 들여서 몰빵하지 말고 직장생활하며 생활비 줄인 잉여자금으로 전국의 토지를 싸게 경매로 취득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매 사이트에서 각종 빨간글씨가 붙은 공유지분, 보전임지, 분묘기지권 등이 있는 토지를 여러번 유찰 뒤에 들어가 싸게 취득하면 돈이 많이 들지 않고 평당 1,000원짜리를 살 수도 있습니다. 이런 토지 투자는 10년 뒤, 20년 뒤를 바라보고 사두는 거라 따로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전업투자의 경우 바로 생활비가 나와야 하고 투자한 곳에서 즉각 결과가 나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기다릴 여유가 없어집니다. 그러니 사..
토지를 매입하면 어떤 세금이 있을까? 그동안 부동산 세금에 대해 알아봤는데 부동산 중에서도 주택 위주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토지 취득시 어떤 세금을 부과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토지를 매입시에도 취득세가 부과됩니다. 보유하는 동안에는 재산세, 종부세가 부과되는 부분도 같습니다. 양도하거나 상속, 증여해도 마찬가지 세금이 부과됩니다. | 취득세 토지를 취득하는 경우는 취득가액의 4.6%(농지는 3.4%)의 세율로 취득세를 부과합니다. 이 때 경작용 농지를 취득시에는 농사용 농지, 농지 조성용 임야 등 일정한 사유로 감면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아예 취득세를 부과하지 않는 비과세 경우도 있는데, 수용으로 인해 토지를 대체 취득하는 경우는 취득세가 비과세됩니다. 시골에 사시던 부모님으로부터 토지를 상속받아 무주택 상태에서 상속받은 1주택과 자경..
재산세와 종부세는 누가 낼까? 재산세와 종부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납부의무가 있습니다. 부동산을 살 때는 취득세를 낸다면 재산세와 종부세는 보유하는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지방의 오피스텔이나 아파트를 한 채 매입했다면 재산세 고지서는 나오지만, 종부세는 나오지 않습니다. 보유한 부동산의 종류와 금액별로 과세대상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종부세는 부자세라고 하는 만큼 주택, 나대지, 상가 건물 부속 토지 등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내는 세금으로 보유한 부동산이 일정 금액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부과됩니다. 지난 글에서 세금별로 과세표준식이 다른 것을 살펴봤는데 재산세와 종부세만 다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과세표준 구하기 재산세 : 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종부세 : (공시가격 ..
아파트 2년 뒤 2억이 올랐다면 양도세는 얼마일까? 부동산 매입 후 일정 기간이 지나 매도하는 경우를 양도한다고 하는데, 이 경우 양도차익(매도액과 매입액의 차이)부분에 대해 국가에서는 세금을 부과합니다. 이를 양도세라고 하는데 물건별로 일정한 것이 아니라 보유기간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게 됩니다. | 보유기간에 따른 양도소득세율 구분 세율 보유기간 1년 미만 : 50% 2년 미만 : 40% 2년 이상 : 기본세율 1세대 2주택 이상 보유기간별 세율 (단, 조정대상지역 내 : 기본세율 + 10%p) 1세대 3주택 이상 보유기간별 세율 (단, 조정대상지역 내 : 기본세율 + 20%p) 미등기양도자산 70% 현재 양도세율은 보유 기간과 중과세 정책에 따라 사안별로 세율을 달리 적용하고 있습니다. 1년이 안되어 양도하는 경우는 양도차익의 절반을 세금으로 내야합니..
주택매매시 과세표준과 세율 알고 투자하기 6.17대책으로 주택매입/매도시 양도세, 종부세 변경 등 정책이 바뀜에 따라 투자할 때 기본적으로 알고 갈 부분들, 그리고 변경되는 사항까지 챙겨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책이 쏟아질 때마다 한숨이 나옵니다만 그래도 기본적인 사항은 또 짚고 넘어가야 되겠습니다. 찾으면 길은 있겠지요. 세금을 이해하려면 과세표준을 이해해야 합니다. 세금은 보통은 '과세표준 x 세율'로 계산합니다. 세율은 지난번 대책 발표내용에서 보듯이 숫자로 바로 명시되므로 곱하면 됩니다. 과세표준은 세금 종류별로 다른데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과세표준 취득세 실지 취득가액 재산세 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종합부동산세 (공시가격 - 공제금액) x 공정시장가액비율 양도세 실지 양도가액 - 실지 취득가액 - 필요..
수익 모델전환에 성공한 어도비(ADBE) 이번에는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수혜주에 포함되고 향후 언택트(비대면)시대에 더욱 강력하게 떠오르는 어도비(ADBE)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어도비 기본현황 창립 : 1982년 12월(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상장 : 1986년 나스닥 시총 : 2062.16억 달러 CEO : 샨타누 나라옌 (2007년~) 어도비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제품은 포토샵입니다. 어도비는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 등 디자인과 관련된 제작툴 기업으로 유명한데, 2013년에는 포토샵 등이 포함된 패키지 소프트웨어인 크리에이티브 제품군의 개발 및 판매를 중단하고, 클라우드 서비스(구독형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판매 형태로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조기에 모든 제품군을 클라우드화하여 성공적으로 수익모델을 전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건축부담금 징수 개시 재건축부담금의 본격 징수 시작 □ (현행) 헌법재판소의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에 대한 “합헌” 결정(‘19.12.27)에 따라 제도의 본격 시행을 준비 ㅇ 국가징수분 재 배분 시 주거복지센터 설치, 공공임대 건설 등 주거복지 증진 위해 노력하는 지자체에 인센티브 부여 □ (계획) 한남연립(17억원)·두산연립(4억원) 시작으로 하반기부터 본격 징수 ㅇ 지자체 대상 집중교육 기 시행(`20.2), 주기적 집합교육 시행(`20.下~) 출처 : 국토교통부 6.17대책 보도자료 2019년 12월에 헌법재판소에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전 글에서 재건축 사전협상제에 대해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이러한 사업으로 엄청난 이익이 예상되는 경우 그것은 개발자와 토지소유자의 노력만에 의한 것..
워런 버핏, "항공주 투자는 내 실수" | 워런버핏도 손절매를 하는 시대 2020년 1월에 시작된 코로나19 사태가 시대를 변하게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언택트(비대면)시대로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 일하는 방식을 바꿀 뿐만 아니라 산업의 구조까지 뒤흔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건이 있습니다. 바로 투자의 달인인 워런 버핏마저 68조원을 날렸고 델타항공, 아메리칸항공 등 반토막이 난 미국 4대 항공사 주식을 전량 손절매했다는 소식입니다. 출처 : 조선닷컴, 버크셔해서웨이 주총 버핏은 코로나가 확산하기 시작할 즈음에 여행 이용자 급감으로 항공주 가격이 내려가자 이를 대거 샀다가 막대한 손실을 보고 결국 주식을 다 팔아버리고 "항공업에 관한 한 세상은 변했다. 항공주 투자는 내 실수"라고 인정했다고 합니다. 워런버핏을 보고 따라샀다..